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미국 배당주 투자

[미국 배당주] 한눈에 보는 보잉 MAX 737 이슈 12가지

728x90

그간 있었던 보잉 맥스 737 관련 주요 사건 12가지를 선정해보았다.

시간 순서대로 나열하였으며 사건의 실제 경과보다는 투자 관점에서 정리하였다.

또한 비교적 최신 뉴스에 더 무게를 두었다.

깨알 같은 숫자는 사건이 일어난 시점

[1] 인도네시아 라이언 에어 737 맥스 추락

https://www.mk.co.kr/news/world/view/2018/10/675061/

 

이륙 13분만에…189명 탑승 印尼여객기 추락 - 매일경제

자카르타 인근 해상 떨어져 탑승객 전원 사망한 듯 사고 기종은 `보잉 737 맥스 8` 저비용항공사들이 적극 도입

www.mk.co.kr

2018년 10월 29일 인도네시아 라이언 에어 737 맥스 8가 추락했다.

해당 기종은 MAX 7, MAX 8, MAX 9, MAX 10 네가지가 존재한다.

상세 내용은 나무위키 참조

(https://namu.wiki/w/%EB%B3%B4%EC%9E%89%20737%20MAX?from=737%20MAX)

숫자가 커질수록 비행기 체급도 커지며 MAX 8이 대표 모델로 주문량이 가장 많다.

MAX 8은 2016년 1월, MAX 9는 2017년 4월, MAX 7은 2018년 3월 초도비행에 성공했다고 한다.

MAX 8은 항송 거리가 길고 연비가 좋아 전세계 항공사에서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차세대 기종이다.

사고 직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이 인도네시아 항공 안전 수준을 문제삼았다는 점이 인상적이다.

 

[2] 미 항공청 737 맥스 기종 소프트웨어 결함 확인

https://news.v.daum.net/v/20181108130005418

 

美 항공청·보잉, 추락한 737 맥스 기종 SW 결함 확인

【서울=뉴시스】 안호균 기자 = 미국 연방항공청(FAA)과 보잉이 지난주 인도네시아에서 추락 사고를 낸 '737 맥스' 기종의 소프트웨어 결함 가능성을 확인하고 안전 경보를 내렸다. 7일(현지시간) 항공 전문 매체 플라이트글로벌과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FAA는 이날 보잉737 맥스 기종을 운영하는 모든 미국 항공사에 조종사들의 비행 매뉴얼

news.v.daum.net

2018년 11월 8일 미국 항공청은 737 맥스 기종 소프트웨어 결함을 확인한다.

그래서 잘 해결되나 싶더니..

 

[3] 에티오피아 항공 737 맥스 추락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903101865015007?did=NA&dtype=&dtypecode=&prnewsid=

 

보잉 737 최신기종 또 추락…에티오피아 여객기 157명 참변

사고여객기와 유사한 기종인 에티오피아항공 소속 보잉 737-800 여객기가 지난 2017년 1월 에티오피아 수도 아디스아바바 볼레 국제공항에 주기하고 있다. 아디스아바바=로이터 연합뉴스아프리카 동부 에티오피아에..

www.hankookilbo.com

2019년 3월 10일 에티오피아 항공 737 맥스 8 여객기가 다시 추락했다.

승무원 포함 157명 전원 사망.

이륙 후 6분만에 연락두절이라니 이젠 진짜 변명의 여지가 없어진 셈이다. 

 

[4] 보잉 737 맥스 운항금지

https://www.yna.co.kr/view/AKR20190314008500072?input=1195m

 

보잉737맥스 전세계 하늘서 봉쇄…'버티던' 美도 운항중단 결정(종합) | 연합뉴스

보잉737맥스 전세계 하늘서 봉쇄…'버티던' 美도 운항중단 결정(종합), 이준서기자, 국제뉴스 (송고시간 2019-03-14 05:57)

www.yna.co.kr

각국에서 차례로 보잉 737 맥스의 운항중단을 발표했고, 결국 미국이 가장 마지막으로 운항금지를 내렸다.

 

[5] 보잉의 737 맥스 결함 처음으로 인정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5200470&plink=ORI&cooper=NAVER

 

“피치업, 피치업” 에티오피아 여객기 조종사의 마지막 외침

에티오피아 항공 소속 보잉 737맥스 여객기가 추락하기 직전 조종사가 외친 마지막 말은 '피치업 피치업'으로 사고 직전 긴박한 상황을 보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은 사고 조사 관계자들의 진술을 토대로 에티오피아 여객기의 이륙부터 추락까지 최후의 상황을 시간순으로 재구성해 보도했습니다.

news.sbs.co.kr

http://www.newstow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5497

 

보잉, 737 MAX8 기체 결함 시인…사과 - 뉴스타운

보잉사가 에티오피아 항공이 운항하는 신형기 737 MAX8 추락 사고와 관련, 기체 실속 방지를 위해 탑재된 MCAS라 불리는 시스템에 문제가 있었음을 시인하고 뮬렌버그 최고경영자(CEO)가 사과했다고 CNN이 5일 전...

www.newstown.co.kr

 

2019년 4월 5일 보잉사는 해당 기종에 결함이 있음을 처음으로 인정했다.

조종 특성 향상시스템(MCAS)의 결함이 사고의 원인으로 밝혀졌다.

원래는 이륙시 받음각(비행기 날개와 기류가 이루는 각도)가 지나치게 높아질 때 실속(속력을 잃음) 상태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자동으로 기수를 내리는 장치다. 

정상 비행중인데도 MCAS의 오작동으로 강제로 기수가 내려가면 비행기는 추락하게 된다.

 

[6] 운항중단의 장기화

http://news1.kr/articles/?3670302

 

보잉 737 맥스, 올해 안엔 못 뜰듯…美항공사들 운항중단 연장

사실 앞에 겸손한 민영 종합 뉴스통신사 뉴스1

news1.kr

올해 안에 못 뜨는게 문제가 아니라 언제 완전히 매듭 지어질지 아무도 모른다는게 문제다.

뉴스는 뜸해졌지만 항공사들은 비행기를 못써먹으니 하루하루 돈만 까먹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야심차게 맥스 737을 주문한 저가항공사들이 큰 타격을 입고 있다.

 

[7] 2019년 12월 3일 CEO 데니스 뮐렌버그 경질, 새로운 CEO로 데이브 캘훈

http://www.segye.com/newsView/20191224511181?OutUrl=naver

 

최대 위기의 보잉, CEO 전격 경질 - 세계일보

737 맥스 기종의 잇단 추락 참사로 창사 103년 만에 최대 위기에 직면한 미국 항공우주기업 보잉이 결국 데니스 뮬런버그 최고경영자(CEO)를 경질했다. 23일(현지시간) 뉴욕...

www.segye.com

2019년 12월 3일 CEO 데니스 뮐렌버그가 경질되고 데이브 캘훈이 후임을 맡게 되었다.

뮐렌버그는 인턴 엔지니어로 보잉에 입사해 CEO까지 오른 전설적인 인물이라고 한다.

불명예스럽게 보잉을 나가지만 3,900만 - 5,850만 달러 상당의 퇴직금을 보너스와 주식으로 받을 예정이다.

CEO 교체에 따른 기대감 덕분인지 뉴스 발표 후 보잉 주가는 3% 가량 올랐다.

 

[8] 이란의 우크라이나 항공 보잉 여객기 오인 격추

https://www.fnnews.com/news/202001111407245205

 

이란, 우크라이나항공 여객기 격추 인정 "실수였다"

이란이 176명 탑승자 전원이 사망한 우크라이나항공(UIA) 여객기 추락사고는 이란의 미사일 발사로 인한 것이라고 11일(현지시간) 인정했다.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은 보도가 나온 직후 트위터에 '미국의 모험..

www.fnnews.com

2020년 1월 3일 미국은 이란의 솔레이마니를 드론으로 제거한다. 

그리고 2020년 1월 8일 우크라이나 항공 보잉 737 여객기가 이란의 수도 테헤란 근처에서 추락했다.

탑승자 176명은 전원 사망.

처음에는 '또 보잉인가?'했지만 알고보니 이란이 피아 구분을 못하고 미사일을 쏜 것이었다.

보잉 입장에서는 최악이 아닌 차악의 결말이라 한숨 돌렸을 것.

 

[9] 보잉사태로 미국 경제성장률 0.5% 하락 예상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200114/99210774/1

 

“보잉 ‘737맥스’ 추락사태로 美 성장률 0.5%P 까먹을 듯”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이 12일 잇단 추락사고로 운항과 생산이 중단된 미 항공기 제조회사 보잉사의 ‘737맥스’ 사태와 관련해 “올해 국내총생산(GDP)에 50bp(0.5%…

www.donga.com

2020년 1월 12일 므누신 재무장관이 인터뷰에서 밝인 내용이다.

저성장 시대에 0.5%는 엄청난 수치다.

11월 재선에 도전하는 트럼프는 속이 쓰려서 보잉을 '매우 실망스러운 회사'라고 디스했다.

하지만 그래서 더 긍정적으로 작용할 여지도 있다.

미국 정부 입장에서 보잉의 회복을 돕는다면 그만큼 성장률을 더 끌어올릴 수 있다는 의미니깐.

적어도 737 기종 재생산이나 보잉의 현금흐름 확보에 도움은 안주더라도 힘들게 하지는 않을 것이다.

어차피 현재의 손실은 피할 수 없고 회복은 시간문제다.

트럼프는 그 시간을 자기편으로 만들고 싶을 것이다.

 

[10] 보잉, 에어버스에 세계 1위 뺏김

https://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1/15/2020011501718.html?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news

 

보잉, 737 맥스 사태 여파로 라이벌 에어버스에 '세계 1위' 내줘

미국 항공기 제조사 보잉이 ‘737 맥스’ 사태 여파로 세계 항공기 제조사 1위 자리를 에어버스에 내줬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14일(현지 시각) ..

news.chosun.com

참고로 에어버스는 1970년대 이후 보잉에 계속 뒤처지다가 2003년 1위를 탈환했다.

하지만 8년간 1위 자리를 지키던 에어버스는 2012년부터 다시 보잉에 왕좌를 빼았겼다.

보잉은 737 맥스 사태로 주문량이 77% 급감하고 기존에 수주한 물량을 인도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보잉이 다시 일어선다고 하더라도 당분간은 에어버스의 독주가 예상된다.

 

[11] 737 맥스 생산중단 보잉에서 공식 인정

https://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1/23/2020012302036.html?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news

 

보잉 신임 CEO "737 맥스 생산 연내 재개할 것"

보잉의 신임 최고경영자(CEO) 데이브 캘훈이 올해 중에 보잉 737 맥스 기종 생산을 재개할 계획이라고 22일(현지 시각) CNBC가 보도했다..

news.chosun.com

2020년 1월 21일 보잉은 737 맥스의 생산중단을 공식 인정한다.

어차피 그동안 비자발적 생산 중단 상태였지만 말이다.

미국 FAA(연방항공청)에서 소프트웨어 승인이 늦어진다면 연내 생산 재개도 희망사항에 가깝다.

당장 신임 CEO가 할 수 있는건 언론플레이 밖에 없어 보인다.

재생산 속도와 신뢰 회복에서 그의 역량이 얼마나 드러날지 기대해 본다.

 

[12] 19년 4분기 실적발표

https://www.yna.co.kr/view/AKR20200129184451072?input=1195m

 

보잉, 1997년 이후 첫손실…737맥스 추락에 직격탄(종합) | 연합뉴스

보잉, 1997년 이후 첫손실…737맥스 추락에 직격탄(종합), 이귀원기자, 국제뉴스 (송고시간 2020-01-30 00:58)

www.yna.co.kr

2019년 1월 29일. 기다리던 실적이 드디어 나왔다.

22년만에 첫 연간 순손실!

2018년 순이익 약 104억 달러 vs 2019년 순손실 약 6억 달러!

2019년 매출은 2018년 대비 24% 감소!

어차피 적자는 다들 예상하고 있었고 문제는 얼마나 났을까인데..

개인적으로는 그런 대형사고가 일어난 것치고 생각보다 금액이 적어보인다.

그래서일까? 최악의 실적을 발표했는데도 장중 주가는 2% 가량 상승했다.

존버하는 투자자만 남았거나 보잉의 다시 일어설 것이라 긍정적으로 보는 메시지일 수도 있다.

 

정리

주요 이슈들을 정리하며 보잉 사태의 심각성과 보잉의 저력을 동시에 느낄 수 있었다.

아직 보상과 생산중단 문제가 진행형이지만 향후 보잉이 회복하는데 얼마나 시간이 걸릴지 두고 볼 일이다.

보잉의 현금흐름에 우려를 제기하는 시각도 있지만 차입금도 확보했고 시간이 해결해 줄 문제일 뿐이다.

가장 큰 터닝포인트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승인과 추가 결합 발견 여부다.

 

F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