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지상철(철도) 옆 아파트 임장 후기 작년에 매수하려고 했던 아파트가 지상철을 접하고 있었는데 주변 환경에 비해 저렴하더군요. 지상철도 저층, 언덕, 학군, 지하주차장과 마찬가지로 괜찮은 동네를 싸게 들어갈 수 있는 요소 중 하나로 보고 잠깐 공부한 적이 있습니다. 나중에 검색하실 때 참고하라고 적어봅니다. 참고로 위 아파트는 경의중앙선을 접하고 있어 기차/지상철의 배차간격이 10분을 넘겨서 다른 지상철에 비해 쾌적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1. 기차의 소음은 역 근처에서 가장 크다. 기차 쇳소리의 원인은 가속, 감속, 선로가 갈라지거나 합쳐지는 구간, 교차로 지날 때 발생합니다. 당연히 이런 이벤트는 역 근처에서 일어나므로 쇳소리가 가장 커지게 됩니다. 경적 소리는 덤입니다. ㅎ 지상철은 확실하지 않지만 무궁화호, KTX 등은 달리는 구간에.. 더보기
집값은 왜 오를까? -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쉬는 날이고 날씨가 더워서 카페로 도망쳐왔는데 추워서 책에 집중이 안되네요 ㅎ 집값이 오르는 이유를 대한민국 경제학자, 정부, (자칭)전문가, 부자, 덜 부자, 흙수저, 댓글 트롤러가 총 출동하여 여러가지 이유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저도 저만의 생각이 있지만 비교적 덜 주목받는 사회문화적인 측면을 얘기해보려 합니다. 참고로 저는 80년대 전후 출생입니다. 제 또래들이 한창 집을 샀고, 살 나이기도 하고, 비교적 다양한 직업군이 있어 나름 대표성은 있다고 생각됩니다. 어디까지나 심심풀이 의견일 뿐 가볍게 읽어주세요. 1. 필수 수요가 늘었다 요즘 된장녀라는 말 안쓰죠. 몇 년전만 해도 5,000원짜리 스타벅스 커피를 마시는게 합리적인 행동이냐 아니냐로 사회적으로 시끄러웠습니다. 지금도 굳이 따지면 비합리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