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무원연금

2021년 9급 7급 공무원 호봉표(봉급) & 실수령액과 인상률 결론부터 말하면, 야근 10시간, 관내 출장을 가정한 미혼 저년차 신규 공무원(행정직 기준)의 평달 실수령액 기대값는 다음과 같다. 실수령액 기대값 ≒ 호봉 + 25만원 9급 1호봉 실수령액은 191만원 내외 7급 1호봉 실수령액은 215만원 내외 위 결과는 엄연히 근사치이며 야근 시간이나 출장 형태에 따라 약 ±20만원의 차이가 날 수 있다. 2호봉, 3호봉, 4호봉, 5호봉, 6호봉, 7호봉, 8호봉, 9호봉, 10호봉, 11호봉, 12호봉, 13호봉, 14호봉, 15호봉 넣어서 계산하는 건 자유지만 호봉이 올라갈 수록 점점 정확도는 떨어진다. 당연히 8급에도 적용 가능하지만 6급 이상은 정확도가 떨어진다. 국가직, 지방직 여부는 실수령액 차이와 무관하다. 행정직에 준하는 다른 직렬(연구직, 교육행정.. 더보기
공무원과 대기업의 연봉, 기대수익에 대한 오해 공무원은 과연 박봉일까? 공무원 기대수익은 사기업보다 높을까? 먼저 아래 기사를 살펴보자. https://weekly.donga.com/3/all/11/1975040/1 공무원은 박봉? 대기업 뺨치네! ‘스카이 대학 재학생인데, 7급 공무원시험을 준비하려고 해요. 좋은 대학 나와 5급도 아니고 7급 공무원이 되려는 것, 잘못된 생각인가요?’ 인터넷 게시판에서 자주 볼 수 있는 … weekly.donga.com 이 기사를 보고 '와우! 공무원 박봉이라는거 다 구라였네!'라고 생각한다면 당신은 기사에 제대로 낚인거다. 딱 2가지 오해만 짚어주면 당신도 공무원과 대기업 사이에서 고민할지도 모른다. 오해 1 - 공무원의 비교대상은 왜 기업평균인가? 5급 공무원, 즉 고시 합격자 연봉을 대기업 평균 연봉과 비교하.. 더보기